STEP 01
검체 정보 확인
카탈로그 및 홈페이지 임상병리 시험안내를 통해 시험정보 및 검체용기를 확인하십시오.
영업팀 및 시험관리팀과 유선상담을 통하여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.
STEP 02
검체 채취 및 보관
- 일반혈액검사(CBC)에는 EDTA가 함유된 Tube에 약 1~3mL 혈액을 분주한 후 항응고제와 혈액이 충분하게 섞이도록 잘 혼합합니다.
검사 전 까지 냉장(4℃)상태로 보존하고 채혈 후 24시간까지는 결과가 안정합니다.
- 혈액응고검사(blood coagulation test)에는 sodium citrate가 함유된 tube에 혈액량과 항응고제의 비율을 9:1로 채혈합니다.
채혈 당일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동결하여 보존합니다. 검사는 약 0.5mL plasma를 송부해 주십시오.
- 혈액생화학검사(blood chemistry test)에는 응고촉진제가 함유된 tube 혹은 Plain tube에 혈액을 분주하고 응고된 혈액을 원심분리합니다. 단기간 보존할 경우 냉장상태로, 장기간 보존할 경우 냉동하여 보존합니다. 검사는 약 0.5mL serum을 송부해 주십시오.
- 각각의 시료보존 용기에는 개체번호를 정확하게 기록해 주십시오.
STEP 01
검체 정보 확인
카탈로그 및 홈페이지 조직병리 시험안내를 통해 염색종류 및 고정방법을 확인하십시오.
영업팀 및 시험관리팀과 유선상담을 통하여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.
STEP 02
검체 처리 및 보관
- 일반염색(H&E) 고정액은 10% 중성완충 포르말린을 이용하시고 반드시 실온에서 고정 하십시오.
동결절편을 원하시는 경우 조직을 적출한 후 신속하게 냉동하시고, 이동 시에도 냉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사전 협의가 필요합니다.
- 장기적출 후에는 가능한 신속하게 신선한 상태로 고정하십시오. (조직을 건조하게 하거나 물이나 식염수 등의 수중에 방치하지 마십시오.)
뼈와 같이 탈회가 필요한 조직은 최대한 근육을 제거하시는 것이 검체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.
- 고정액 양은 조직의 10배 이상으로 하고, 작은 용기에 부피가 큰 조직을 넣지 않도록 부탁 드립니다. 고정용기에는 개체번호를 정확하게 기록해 주십시오.